2022-07-22
1558
품목명(등급) |
실리콘겔인공유방[4] |
|||
품목 설명 |
유방을 재건 하거나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실리콘 등 주머니 안에 실리콘 겔이 포함된 삽입물 |
|||
이상사례 |
표준 코드 |
|||
의료기기문제 코드 |
환자문제 코드 |
구성요소 코드 |
||
부작용 |
유방 임플란트 시술 후, 파열 발생 (제거). |
1546(재료 파열) |
1924(임플란트, 실패) |
- |
유방확대를 목적으로 제품을 삽입하는 유방확대술을 받음. 수술 시 겨드랑이 아래 부위를 약 4cm 절개하여 접근하였으며 대흉근의 아래쪽으로 인공유방보형물을 위치시켰으나, 양측 유방 모두 구형구축 베이커 등급 3을 진단받고 이에 재수술이 불가피하여 인공유방보형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제품을 삽입하는 재수술을 함. |
2993(알려진 기기 문제 없음) |
1761(수정체 경축) 1924(임플란트, 실패) |
- |
|
환자가 실리콘겔인공유방으로 삽입수술 받은 후, 우측 유방 보형물의 피막 외 파열, 우측 액와부에 실리콘 림프샘 장애 의심 소견을 받음. 또한,우측보형물 피막내파열과 좌측양성결절의심으로 진단받음. |
1395(기기 또는 기기 구성부품의 이동) 1546(재료파열) |
1924(임플란트, 실패) 2093(부풀어오른 림프절) |
- |
|
유방확대를 목적으로 유방확대술을 받고, 수술 시 유방 아래 밑선 부위를 약 4 cm 절개하여 접근하였으며 대흉근의 아래쪽으로 인공유방보형물을 위치시킴. 그런데, 초음파 검사를 통해 한쪽 유방에 혈종을 진단받고 이에 재수술이 불가피하여 기존 인공유방보형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제품을 삽입하는 재수술을 무사히 마침. |
2993(알려진 기기 문제 없음) |
1884(혈종) 1924(임플란트, 실패) |
- |
|
유방확대를 목적으로 유방확대술을 받고. 수술 시 유방 아래 밑선 부위를 약 4 cm 절개하여 접근하였으며 대흉근의 아래쪽으로 인공유방보형물을 위치시킴. 그러나 초음파 검사를 통해 한쪽 유방에 제품의 위치 이동을 진단받고 이에 재수술이 불가피하여 기존의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제품을 삽입하는 재수술을 무사히 마침. |
1395(기기 또는 기기 구성부품의 이동) |
1924(임플란트, 실패) |
- |
|
환자가 실리콘겔인공유방 가슴확대수술을 2011년도에 받고서, 2020년 유방초음파검사에서 지연성 장액종 소견을 받음. 피막의 조직검사를 의뢰한 후, 만성 염증과 섬유종으로 확인됨. |
2993(알려진 기기 문제 없음) |
1932(염증) 2069(장액종) |
- |
|
우측 유방에 통증과 비대칭적인 팽창으로 초음파(유방외과) 결과 파열이라는 진단을 받고 성형외과에서 제거 수술 시행. |
1546(재료 파열) |
1994(통증) |
- |
|
유방확대수술 시행 이후, 유방의 딱딱함 또는 통증을 느낌. |
2993(알려진 기기 문제 없음) |
1994(통증) |
- |
|
환자가 양측 유방에 통증, 찌릿한 느낌, 우측 유방에 부종으로 물이 찬 것 같았음. 우측 보형물의 피막 내 파열을 확인함. |
1546(재료 파열) |
1820(부종) 1924(임플란트, 실패) 1994(통증) |
- |
|
인공유방 삽입수술을 받은 7년 후, 좌측 유방 안쪽에 실리콘 육아종과 좌측 보형물의 피막 내 파열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받음. MRI 검사를 받고, 좌측 보형물 파열을 경험함. |
1546(재료 파열) |
1876(육아종) 1924(임플란트,실패) |
- |
|
제품결함 |
- |
- |
- |
- |
안전성서한 |
- |
품목명 ( 등급 ) 실리콘겔인공유방[4] 품목 ...